문화와 연결하다/컬쳐&트렌드

추운 겨울에 함께 하기 좋은 동지팥죽의 유래와 황금레시피

Aju 2019. 12. 20. 22:06

다가오는 12월 22일! 이날이 언제인지 여러분들은 알고 계시나요?! 바로 1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동지’입니다. 요즘에는 잘 챙기지 않고 넘어가지만, 우리의 조상들은 동지를 매우 중요한 명절로 여겼는데요, 동지를 기준으로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면서 태양이 점차 기운을 회복한다고 믿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동지를 ‘작은 설’이라고 부르면서 동지를 지나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이야기도 함께 전해졌답니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동지’ 하면 팥죽 먹는 날로 더욱 잘 알려져 있는데요, 다가오는 ‘동지’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붉은색의 팥이 악귀를 비롯하여 나쁜 기운을 쫓아낸다고 생각했는데요. 어두운 기운이 강한 동짓날에 두려움과 불안감을 달래기 위해 팥죽을 쑤어 집안 곳곳에 한 그릇씩 놓거나 벽에 뿌리면서 가족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기도 했답니다. 또, 남은 팥죽은 함께 나눠 먹으며 동짓날 긴 밤 서로에게 위안이 되어주기도 했답니다.

 

팥죽이 결코 악귀를 쫓는 부적의 용도로만 만들어진 것은 아닙니다. 먹을 것이 귀했던 추운 겨울, 팥죽 한 그릇으로 온 가족의 배를 따뜻하고, 든든하게 채우며 정을 나눈 것이 동지팥죽이 가진 진정한 의미겠죠?! 특히 신분의 격차가 컸던 과거에도 동짓날만큼은 모두가 같은 음식을 나눠 먹으며 동등한 행복을 누리고, 서로의 건강을 기원했다는 점에서 팥죽을 따뜻한 의미를 품은 음식으로 말할 수 있답니다.

 

이러한 팥죽의 진정한 의미를 일찌감치 깨우친 왕이 바로 조선시대의 ‘영조’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악귀를 쫓기 위해 아까운 팥죽을 뿌리는 것을 멈추라고 지시하기도 했으며, 동짓날 돌아가신 어머니께 다녀오는 길에 거리의 노인들에게 팥죽을 나눠주며 진정한 동지팥죽의 의미를 다시금 되새기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그럼, 동지팥죽은 어떤 점이 좋을까요?! 동지팥죽에서 주인공은 당연, 팥이라고 할 수 있겠죠. 팥은 탄수화물 분해와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 B1이 풍부합니다. 더 나아가 칼슘, 칼륨, 인, 철분 등 다양한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으며, 오렌지보다 비타민 C가 풍부하다고 합니다. 그러니, 겨울철 영양 간식으로 딱이겠죠?! 하지만, 팥죽에 설탕을 많이 넣으면 몸에 좋은 사포닌 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약간의 소금 간만해서 먹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

다가오는 동짓날, 여러 가지 의미가 담겨져 있는 동지팥죽을 만들어 먹는 건 어떨까요?! 어렵지 않답니다. 손쉬운 동지팥죽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만들어보아요:)

-동지팥죽 만들기 재료

팥 1컵, 새알심, 소금, 불린 쌀 1/2컵

-초간단 동지팥죽 만드는 법-

쌀을 씻어 3시간 동안 물에 불려 건져줍니다.

팥을 씻은 물을 부어 끓인 후 물을 따라 버려줍니다.

물 5컵을 다시 붓고, 팥이 푹 무르익도록 삶아줍니다.

팥을 체에 내려줍니다. 이때, 팥 삶은 물을 부으면서 껍질을 거피하고 앙금을 가라앉힙니다.

5. 냄비에 불린 쌀과 팥 삶은 물을 부어 쌀이 퍼지도록 끓이다가 중간에 팥 앙금을 더 넣고 끓여줍니다.

6. 끓는 물에 새알심을 넣고 끓여 소금 간을 한 후 마무리하면 완성됩니다.

 

동지에 대한 유래와 동지팥죽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옛날부터 전해진 ‘동짓날’인 만큼 팥죽을 먹으며 서로의 건강을 기원해주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