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연결하다/자동차

도로 위의 생명줄!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법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7. 11. 10:00

 

도로 위의 생명줄!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법






안녕하세요, 아주캐피탈 공식 블로그 '아주 특별한 하루'를 찾아주신 여러분! 안전벨트 미 착용시 교통사고 사망률이 훨씬 높아진 다는 것은 흔히 알려진 사실입니다그럼에도 여전히 안전벨트 착용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분들이 많다고 해요. '불편해서', '습관이 안 돼서’, ' 귀찮아서' 등 그 이유도 제 각각인데요. 오늘은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과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 법에 대해 살펴볼게요.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합니다.


교통사고 사망률이 높은 이유 중 한가지는 바로 안전벨트 미착용과 관련 되어 있는데요.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인한 벌금은 3만원으로 도로교통법 제 50조 제 1항에 규제 되어있는 사항이지만, 단속 범칙금의 정도가 낮고 벌점은 부과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안전벨트 미착용에 대한 심각함을 인식하지 않는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벨트의 착용의 중요성은 여러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30~40km 정도의 속력은 운전자뿐만 아니라 동승자 역시 안전하다고 느낄 정도의 안전한 수준의 속도라고 할 수 있지만, 자동차 사고에 있어서는 자기 체중의 약 16배에 해당하는 충격을 주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는 속도입니다. 하지만 안전벨트는 사고로 인한 사망이나 중상을 57%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상태에서 팔과 다리로 충돌 때 관성을 견딜 수 있는 힘은 150~200kg뿐이지만, 안전벨트는 2,720kg의 힘을 견뎌낼 수 있으며, 이는 시속 150km 정도의 충격력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챠량이 외부와 충돌하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인체는 충격량을 버티지 못하고 튕겨져 나가게 되는데요. 이 경우 인체는 앞 창문을 뚫고 나간다든지 차량 내부 부속품 및 동승자간의 충돌로 인해 부상을 입게 됩니다. 이에 있어서 안전벨트는 차가 부서지더라도 차로부터의 이탈을 막아 피해를 최소화 해주고 신체가 온전히 충격을 받을 수 있게 도와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간혹 사고로 인한 충돌 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차 밖으로 튕겨져 나가기 때문에 생존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차 안에서 사람이 바깥으로 튕겨져 나가면 사망하거나 심각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포장된 도로에 충격을 받거나 달려오는 다른 차량에 한 번 더 충돌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방법



교통사고의 충격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는 생명 줄인 안전벨트! 하지만 아무렇게나 맬 경우 오히려 생명을 위협하는 무기로 돌변할 수도 있습니다. 올바른 방법으로 착용해야만 위험한 순간에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안전벨트는 어떻게 매는 것이 안전할까요? 그 방법을 아래에 소개해 드릴게요.




1. 안전벨트의 길이 확인하기

 



어깨부분에 걸치는 띠는 목에 닿지 않도록 비스듬히 매 어깨 중앙에 오게 합니다. 이때 벨트와 가슴부분에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가 좋습니다. 어깨 안전띠를 겨드랑이 아래로 착용하면 사고가 났을 때 갈비뼈를 다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2. 안전벨트가 꼬였는지 확인하기

 

안전벨트가 꼬이면 운전자의 안전도 위험해집니다. 벨트가 꼬인 상태에서 자동차가 충돌할 경우 꼬여 있는 부분에 더 심한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바른 자세에서 안전벨트 매기

 

안전벨트를 맬 때는 자세를 바로 한 상태에서 해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시트 깊숙이 착석한 뒤 밑부분 골반 띠는 허리 아래쪽에 오도록 하고 어깨 띠는 어깨 중앙부에 다다르도록 조절합니다


좌석 등받이를 지나치게 뒤로 눕히면 몸통이 안전띠 아래로 미끄러져 복부압박으로 인해 장파열이 발생할 수 있느니 주의해야 합니다또한 바른 자세에서 운전해야 운전시 시야가 더 넓어지고 피로가 덜 쌓여 더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습니다.

 


4. 평소 안전벨트 상태 점검하기

 

안전벨트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이 아니므로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운전석의 경우 4~5년 정도가 경과 하면 잦은 사용으로 인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조임 상태가 불규칙하고 되돌아가는 힘이 부족하다면 점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평소에 안전띠의 버클이 '찰칵'하는 소리를 내며 잘 잠기는지 확인하고, 잘 풀리는 지도 체크해야 긴급한 상황에서 당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안전벨트 착용 법]

 

출산이 임박한 임산부들의 경우 복부 압박이 심하다는 이유로 안전벨트 착용을 꺼리기도 하는데요. 태아와 임산부의 안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잘못된 안전벨트 착용은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착용방법을 알아두어야 합니다.

 

1. 어깨부터 허리까지 잡아주는 3점식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점식 안전벨트는 갑작스러운 정차 및 사고 시 자궁에 압박을 가하여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어깨 벨트는 반드시 가슴과 가슴 사이를 지나게 착용해야 합니다.

3. 골반 벨트는 자궁 위치를 최대한 피해 가능한 한 배꼽보다 아래 부분을 지나도록 합니다.

4. 너무 헐겁지 않게 손가락 한마디 정도 들어갈 여유만 남기고 매도록 합니다.

5. 허리가 아플 때는 얇은 담요를 벨트와 몸 사이에 끼워 좀 더 편안하게 착용합니다.

6. 장시간 이동 시에는 2~3시간에 한 번씩 차를 세우고, 5~10분간 휴식을 취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안전벨트 착용의 중요성과 올바른 안전벨트 착용법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 잘 살펴보셨나요? 현재 고속도로에만 적용하는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 의무가 곧 일반도로에도 확대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인명사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안전벨트 착용은 내 생명은 물론 가족의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는 것, 잊지 마시기 바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