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금융뉴스] 6년새 18배로 늘어난 개인 장기렌터카
6년새 18배로 늘어난 개인 장기렌터카
기업이나 정부 부처 등에서 주로 활용하던 장기 렌터카를 이용하는 개인이 최근 급속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새 차를 사는 대신 필요할 때 빌려 타고, 원하는 차량이 생기면 교체해서 타겠다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어서입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렌터카 시장 점유율 1위(4월 말 기준 24.8%)인 롯데렌탈의 개인 장기 렌터카 이용자 수는 2010년 말 1689명에서 지난 4월 말 3만791명으로 5년4개월 만에 18배로 커졌습니다. 연평균 성장률이 62.2%에 이릅니다.
롯데렌탈의 장기 렌터카 전체 이용자는 같은 기간 3만6051명에서 10만4331명으로 늘었다습니. 법인 장기 렌터카 이용자도 3만4362명에서 7만3540명으로 두 배 이상으로 커졌지만 개인 장기 렌터카 사업 성장세가 더 두드러집니다. 업계 2위 AJ렌터카(점유율 11.8%)도 개인 장기 렌터카 사업이 매년 60~70%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장기 렌터카 사업 성장 덕분에 전체 렌터카 산업 규모도 커지고 있다. 전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2010년 말 25만여대이던 국내 렌터카는 지난해 말 54만여대로 5년간 110.9% 커졌습니다.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가 1794만여대에서 2098만여대로 16.9% 늘어난 데 비하면 렌터카 시장 성장세가 가파릅니다.
렌터카업계에서는 개인 장기 렌터카 시장이 커지는 이유로 경제성과 편리성을 꼽습니다. 장기 렌터카는 초기 목돈 부담 없이 15인승 이하 전 차종을 신차를 살 때처럼 모델·색상·옵션까지 모두 선택해 1년에서 5년까지 이용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계약이 끝날 때 타던 차량을 인수할 수도 있다. 월 대여료에 차량 취득·등록세, 보험료, 자동차세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렌터카업체가 정기 정비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차량 관리 부담도 작습니다. 개인사업자는 월 대여료를 비용으로 처리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대출상품 과잉권유 금지 등 금융소비자보호법 재추진
앞으로 금융 회사들은 자산, 소득, 연령 등 고객의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대출 상품을 권유할 수 없습니다. 또 고객이 대출금을 받았더라도 2주일 안에 원리금을 반환하면 대출 계약을 철회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금융 회사들의 중도 상환 수수료 부과 기간을 원칙적으로 3년 이내로 단축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금융소비자보호 기본법(금소법)’ 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26일 밝혔습니다. 2012년 국회에 제출됐던 금소법 제정안이 19대 국회가 끝나면서 자동 폐기됨에 따라 정부가 다시 법 제정에 나선 것입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19대 국회에서 합의된 의원 입법안과 지난해 발표된 정부 정책 등을 이번 제정안에 반영했다”고 말했습니다.
금융사가 대출 상품을 판매할 때 재산 상황 등 고객의 여건을 먼저 살피고 이에 맞지 않는 상품을 권유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설령 고객이 스스로 가입하겠다는 의사를 밝혀도 해당 상품이 고객과 맞지 않다는 점을 고객에게 반드시 알려야 합니다. 상환 방식 역시 금융사가 강요할 수 없습니다. 이런 규제 내용을 금융사가 위반하면 해당 행위에 따른 수입의 최대 50%를 과징금으로 내야 합니다.
영국발 충격파에 美도 휘청 금리동결 넘어 인하론까지
미국 경제가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후폭풍으로 초긴장 상태에 들어섰습니다. 대서양 건너 유럽대륙에서 발생했지만 독일 베를린장벽 붕괴 이후 유럽 내 최대 사건인 데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가 동시에 영향을 받고 있어서입니다. EU 분열에 대한 공포와 시장변동성 상승에 따른 성장둔화, 강달러에 따른 무역타격, 금리인상계획 변동 등이 미국 경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했습니다. 브렉시트 결정 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벤트는 28일(이하 현지시간) EU 정상회의, 29일 유럽중앙은행(ECB) 포럼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관련, 25일 마켓워치는 브렉시트 결정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2018년 초까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더 나아가 연준이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데 베팅하는 투자자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25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을 4.8%로 예측했습니다. 8월 FFR 선물계약만 고려하면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은 8%까지 올라갑니다.
LPL파이낸셜의 투자 전략가인 앤서니 발레리는 "24일 오전 기준으로 올해 7월부터 11월 회의 중에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은 15%로 예측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오후 들어 금리인하 가능성이 10% 아래로 떨어졌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