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과 연결하다/오늘의 금융뉴스

[오늘의 금융뉴스] 세계 추세는 '그린본드' 국내금융사들도 군침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3. 11. 13:48

세계 추세는 '그린본드' 국내금융사들도 군침





애플이 15억 달러(1조8300억원) 규모의 ‘그린본드’(환경친화 프로젝트 용도의 특수목적 채권)를 발행합니다.


지난해 파리기후변화 협약 이후 전세계적으로 친환경·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그린본드’ 수요가 덩달아 확대되자 애플까지 그린본드 발행 대열에 합류한 것입니다. 개발은행·지방정부 등 공적기관은 물론 민간기업들까지 그린본드 발행에 대거 뛰어들면서 글로벌 그린본드 시장 규모가 올해 사상 최대치를 쉽게 갈아치울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1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애플이 총 120억달러(14조5800억원)에 달하는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이중 15억달러 어치를 ‘그린본드’로 발행키로 했습니다. 애플이 그린본드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그린본드는 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환경 개선·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등에만 쓰도록 사용 목적이 제한된 채권입니다. 애플측은 “조달된 자금을 친환경 사옥과 데이터센터 건설,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WSJ는 “그린본드가 일반 회사채보다 금리가 저렴하고 재무적 투자자 뿐만 아니라 친환경 투자자 등으로 투자풀을 다각화 할 수 있는데다 기업이미지 개선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애플의 그린본드 발행이 주목받는 것은 그동안 다자간 개발은행·지방정부·국가기관 등 중심으로 한정됐던 발행처가 점차 기업으로 확산되고 규모도 커지는 신호탄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본 기사는 매일경제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기사 바로가기



저금리에 수수료 떼면∙∙∙ 만능 아닌 불능통장 ISA?



새로운 세(稅)테크 수단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가 다음 주 초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저금리 기조 때문에 시중의 금융상품 수익률이 워낙 낮다 보니 소비자에게 주어지는 비과세 혜택 역시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또 금융회사들의 과당경쟁에 따른 불완전판매 우려도 끊이지 않습니다. 일각에서는 ISA가 ‘만능통장’이 아닌 ‘먹통계좌’가 될 수 있다는 조롱 섞인 반응도 나옵니다.



○ 숨어 있는 수수료 ‘함정’ 


10일 각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이 판매하는 신탁형 ISA의 수수료는 0.1∼1.2% 수준으로 책정될 예정입니다. 신탁형의 경우 고객이 어떤 상품을 담느냐에 따라 수수료가 달라지는데 예적금은 0.1%, 펀드 0.2∼0.3%, 주가연계증권(ELS) 0.7% 등입니다. 한 은행 관계자는 “투자 위험이 높은 상품일수록 수수료가 올라가지만 은행들 간에 경쟁이 치열해 수수료를 최대한 낮췄다”고 말했습니다. 증권사들의 경우 신탁형은 0.0∼0.5%, 일임형은 상품 포트폴리오의 위험 등급에 따라 약 0.1∼1.0% 수준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수료는 고객에게 돌아가는 비과세 혜택을 갉아먹는 주된 요인입니다. 예를 들어 연소득 5000만 원 이상인 직장인(비과세 한도 200만 원)이 ISA를 통해 연이자 2%짜리 예금에 2000만 원을 넣고 5년 동안 묵혀둘 경우 30만8000원의 비과세 혜택을 얻습니다. 하지만 매년 ISA 평가 잔액의 0.1%를 수수료로 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 돌아가는 경제적 이득은 20만8000원으로 줄어듭니다. 1년으로 환산하면 4만4000원인 셈입니다. 매년 납입 한도인 2000만 원을 꽉 채워 5년간 예금에 넣는다 해도 수수료를 뺀 혜택은 1년에 4만5600원 수준입니다.



본 기사는 동아일보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동아일보 기사 바로가기



"중도금 대출 조이지 말아달라" 금융위∙금감원, 은행권에 요구



금융당국이 10일 경직된 대출 심사 때문에 아파트 집단대출이 거절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은행권에 주문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업계, 은행권 등과 가진 ‘최근 주택금융 동향 관련 현장 간담회’에서 이같이 당부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주택건설업계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은행들의 집단대출 거절 사례 등을 제시하며 금융당국에 집단대출 공급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규제로 은행들이 집단대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집단대출에 대한 별도 규제는 없다”며 “은행들이 자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을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당국은 또 우량 사업장을 중심으로 집단대출이 꾸준히 이뤄지면서 집단대출이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를 주도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올 들어 주택담보대출 증가액(5조4000억원) 중 46.6%인 2조5000억원이 집단대출이라는 통계도 제시했습니다..



본 기사는 한국경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 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