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과 연결하다/오늘의 금융뉴스

[오늘의 금융뉴스] 지주계열 '웃고' 전업저축銀 '울상'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1. 5. 16:12

주계열 '웃고' 전업저축銀 '울상'





올해 상반기부터 은행창구에서 계열 저축은행·캐피탈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지주 계열과 비지주 계열 저축은행간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지주계열 저축은행은 영업채널이 확대되는 반면에 전업 저축은행은 신종 금융권 일감몰아주기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사는 지주 계열사 간 업무 위탁이 전면 허용되면서 저축은행과 연계 업무를 위한 전산서비스를 개편 중입니다. 지난해 12월 금융위원회가 금융지주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계열사 간 연계영업이 확대되도록 규제를 완화한데 따른 조치입니다.


KB저축은행 관계자는 “은행에서 대출 신청을 받아서 저축은행에 넘겨주는 등 상호간 소통을 위한 전산작업을 지주차원에서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거절당한 고객이 고금리 대부업으로 가기 전 은행창구에서 저축은행 중금리대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객 편의성이 커지고 저축은행은 은행점포 자체가 또 다른 영업채널이 됩니다.



본 기사는 전자신문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기사 바로가기




기촉법 놓고 국회, 정부 '엇박자' 임종룡式 금융개혁안 무산 위기



금융당국이 기업 구조조정 촉진법(이하 기촉법) 및 대부업법 등 금융개혁 관련 입법 지연에 따라 비상체제를 가동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회에서는 해당 법안의 통과가 불투명해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채권은행 중심의 기업 구조조정을 추진해왔던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금융개혁안이 무산될 가능성이 커, 국회와 정부의 '엇박자'가 시장의 혼란을 키운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습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용범 금융위 사무처장을 주재로 한 첫 구조조정 점검회의가 이르면 오는 7일 개최될 예정입니다. 이는 국회의 기촉법 처리 지연으로 인한 조치로, 금융위는 이번 주 회의를 시작으로 매주 점검회의를 개최한다는 방침입니다. 전날인 6일에는 임 위원장 주재의 긴급 대부업정책협의회가 예정돼 있습니다.


김 사무처장은 "현재 금융감독원에서도 기촉법 공백을 메우기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 기업 구조조정 운영 협약을 제정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7일께 열릴 점검회의에서는 기업 구조조정 관련 애로사항 등을 중점적으로 들어볼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미 지난 달 한계기업 중 대기업까지 걸러낸 금융당국은 구조조정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약을 통해 자율조정을 실시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해당 협약은 법적 구속력이 없어, 채권은행과 기업들간의 신사 협정 형태로 이뤄질 전망입니다. 이 때문에 구속력이 없는 해당 협약의 실효성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본 기사는 아주경제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주경제 기사 바로가기




저축은행권 자동차 할부금융 '시동'



저축은행들이 속속 자동차 할부 금융시장에 출사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카드사와 캐피탈사가 주도해 온 국내 자동차 할부 금융시장에 변화가 일지 주목됩니다.


이는 저축은행이 자동차 할부 금융시장을 넘보게 된 것은 지난해 3월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입니다. ㄱ 일환으로 지난해 5월부터 저축은행도 할부금융 영업이 가능해지면서 기존 캐피탈·카드사들의 아성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할부금융은 인가가 아닌 등록업종으로 회계연도 기준 2년 연속 자기자본(BIS)비율이 10% 이상 유지되고, 최근 2년간 '경고' 이상의 제재를 받지 않은 금융사면 등록 가능합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출범과 중금리 대출 활성화 등으로 업계 전반으로 신성장동력을 마련해야 하는 처지"라며 "카드사와 캐피탈사의 막강한 영업력을 비집고 들어가기 힘들겠지만 틈새시장을 찾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본 기사는 디지털타임스 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타임스 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