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연결하다/컬쳐&트렌드

늦가을 웰빙축제, 2015 파주장단콩축제 함께 즐겨요!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11. 17. 13:41

늦가을 웰빙축제, 2015 파주장단콩축제 함께 즐겨요!





안녕하세요, 아주캐피탈 공식 블로그 '아주 특별한 하루'를 찾아주신 여러분! 11월을 훌쩍 넘기면서 이제 가을도 막바지로 향해 치달아가고 있습니다. 가을뿐만 아니라 올해 2015년도 이제 달력 한 장만을 남겨두고 있는데요, 오늘은 2015년의 마지막 가을을 즐길 수 있는 지역 축제를 하나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바로 2015 파주장단콩축제가 그것인데요, 지금부터 축제의 프로그램과 더불어 함께 가보면 좋을 파주의 명소들을 둘러보도록 해요.




2015 파주장단콩축제 현장 속으로!



 





2015 파주장단콩축제





기간 : 2015.11.20(금)~2015.11.22(일)

위치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77 (파주 임진각광장 일원)

전화번호 : 031-940-5288, 5281

공식 홈페이지 : https://tour.paju.go.kr





올해 파주장단콩축제는 '웰빙명품 파주 장단콩'이라는 주제로 11월 20일 금요일부터 22일 일요일까지 파주시 임진각 광장 일원에서 개최도리 예정입니다.  파주 장단콩은 1913년 우리나라 최초의 콩 장려품종인 '장단백묵'으로 맛이 좋고 영양이 뛰어난 것으로 명성이 높은데요, 주 재배지인 민통선 북쪽 장단지역은 물 빠짐이 좋은 토양조건과 일교차가 커 장단콩 재배에 적격으로 평가됩니다. 이곳에서 재배된 콩은 암 예방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소플라본과 단백질 함량이 높아 인기가 많은데요, 올해 축제에서는 이러한 장단콩을 주제로 꾸며진 다채로운 체험과 전시를 즐겨볼 수 있습니다.


올해로 19회째를 맞는 파주장단콩축제는 체험마당, 이벤트마당, 판매장 및 먹거리, 상설 전시장 등 총 6개 마당으로 꾸며지며 세세한 볼 거리와 즐길 거리는 56 가지에 이른다고 합니다. 


 

체험마당에서는 꼬마메주 만들기, 도리깨 콩 타작, 가마솥 순두부, 감자·고구마 구워 먹기, 전통장·전통주 담그기 등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며, 이벤트마당에서는 장단콩 길놀이, 마당극, 힘자랑대회, 한우고기 경매, 마술쇼, 버블쇼 등이 펼쳐져 다채로운 볼 거리를 자랑합니다. 


이 외에도 장단콩을 주 재료로 하는 장단콩 요리 전국대회, 평화누리길 걷기대회 등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연계행사도 열릴 예정이라고 하네요. 판매장에는 파주장단콩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 특산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 여기에 판매되는 장단콩들은 생산 이력제를 통해 종자의 선택과 파종, 생육 관리 등 생산부터 수확과 선별에 이르기까지 파주시 공무원이 현장에 입회해 철저하게 관리한 것들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믿을 만한 먹거리를 유통 마진 없이 직거래로 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네요.




2015 파주장단콩축제와 함께 즐기면 좋은 파주 가볼 만한 곳 BEST



1. 오두산통일전망대



 





오두산통일전망대





주소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필승로 369

전화번호 : 031-945-3171

이용시간 : 11~2월 09:00~16:30

             3~10월 09:00~17:00

                                  11~12월 09:00~16:30 (매주 월요일 휴관)



※ 민통선 북방 군사 작전지역으로 일몰 1시간 전부터 제약을 받아 

기상 및 기타 상황에 따라 종료시간이 유동적일 수 있음





첫 번째로 소개해드릴 곳은 오두산통일전망대입니다. 오두산은 한강과 임진강의 하류가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는 산으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삼국시대부터 군사적 요충지로 손 꼽힌 곳이라 합니다. 오두산통일전망대는 1992년 오두산 정상에 지어졌는데요, 통일전망대가 세워지면서 북한을 좀 더 가까이 볼 수 있게 되었고 이곳 통일전망대는 현재 수많은 실향민들의 마음을 위로하는 한편 통일에 대한 염원과 희망을 담는 장소로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오두산통일전망대는 총 5층으로 되어 있는데요, 1층은 각종 기획전시가 펼쳐지는 전시장이 있고 2층에는 300석 규모의 영상실과 통일전시실이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북한에서 생산되는 제품 등 불한 사람들의 생활상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3층에는 북한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극장과 북한을 바라볼 수 있는 망원경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 관람로를 따라 내려오다 보면 북한의 생활상을 볼 수 있는 전시실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오두산통일전망대는 어른들에게는 추억과 그리움을, 어린이들에게는 북한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일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을 만한 곳입니다. 화려하고 재미난 볼거리를 만날 수 있는 곳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아이와 함께 꼭 한 번은 가보시기를 권해드리고 싶네요.


참고로 입장료는 어른3000원, 군.경.초중고 1600원, 경로자 및 유치원생은 1000원이며 주차장 이용료는 2000원입니다.평일에는 자동차가 전망대까지 올라 갈 수 있나 주말과 휴일에는 전망대 아래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버스를 타고 올라 가야 하니 이 점은 기억해주세요. 또, 이곳은 민통선 북방군사지역이라 일몰 한 시간 전부터는 이용이 제한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보광사



 





보광사





주소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보광로474번길 87

전화번호 : 031-948-7700

공식 홈페이지 : http://www.bokwangsa.net/





두 번째로 소개해드릴 곳은 천년의 역사를 지닌 고찰, 보광사입니다. 보광사는 신라 진성여왕 8년(894년)에 왕명으로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고려 고종 2년(1215년)에 원진국사(圓眞國師)와 우왕 14년(1388년) 무학대사(無學大師)가 중창했는데, 조선시대에 이르러 임진왜란 당시 모든 건물이 불에 타 소실된 것을 광해군 14년(1622년)에 법당과 승당을 복원하고 이후 지속적인 복원과 중건 끝에 영조대에 이르러 제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서기 1740년에는 숙종의 후궁으로 영조를 낳았던 숙빈 최씨의 묘가 보광사 인근에 위치한 덕분에 숙빈 최씨의 원찰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보광사는 한국전쟁 당시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전쟁 후 중창되었고, 훼손된 건물을 해체하고 복원하는 작업을 거듭한 끝에 오늘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보광사의 대웅보전은 조선 후기의 건축물 양식을 지니고 있는데 건물의 벽면을 살펴보면 정면을 제외한 세 면이 모두 판 벽으로 되어 있으며 기둥 한 칸마다 내용이 다른 불화가 그려져 있다고 합니다. 오른쪽 벽에는 코끼리를 탄 동자상과 연화보살이, 왼쪽 벽에는 신장상이, 그리고 뒷벽에는 용선(龍船), 수석도(水石圖), 연화생도(蓮花生圖) 등이 그려져 있습니다. 지붕 위의 용마루 양끝에는 용머리 장식의 있는데, 이는 조선 중기까지 주로 궁궐이나 관아의 중심 건물에 쓰였으나 조선 말기에 이르러 사찰에서도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대웅전 내부에는 약사여래 아미타 삼존불을 비롯하여 문수보살, 보현보살 등의 협시보살과 영산후불탱화가 봉안되어 있으며 천정에는 동양화기법으로 그린 화조화(花鳥畵)와 초충도(草蟲圖)가 있는데 이와 같은 천정화는 그 유례가 드물다고 하네요. 대웅보전의 현판은 영조의 친필로 한국전쟁 당시에도 훼손되지 않고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요, 조선 후기의 건축양식과 수백 년의 세월이 고스란히 남아 있어 이를 둘러보시면 감회가 새로울 것 같습니다.


서늘한 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흔들리는 은은한 풍경 소리에 몸을 맡기며, 한 번쯤 맑고 그윽한 정취를 뽐내는 사찰을 한 바퀴 둘러보시는 것도 아주 좋을 것 같네요.




3. 벽초지문화수목원







벽초지문화수목원





주소 :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창만리 166-1

전화번호 : 031-957-2004

공식 홈페이지 : www.bcj.co.k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곳은 파주시 광탄면에 위치한 벽초지 문화수목원입니다. 벽초지문화수목원은 정원과 산책로, 연못, 실내 온실, 잔디광장, 화훼 재배장 등으로 구성된 원예수목원인데요, 우리나라의 자생 식물은 물론 전 세계 희귀종 식물들을 다수 식재하고 주변 환경을 자연 생태계에 가깝게 복원한 것이 특징입니다. 현재 벽초지문화수목원은 화단의 꽃이 거의 저물고 길목마다 낙엽이 떨어져 가을과 겨울의 경계에 서 있는데요, 하지만 걱정 마세요! 한겨울에도 충분히 볼 거리가 많이 있으니 말이죠.



 



벽초지문화수목원은 매년 겨울이 되면 수백만 개에 달하는 전구에 불을 밝혀 수목원 전체를 빛의 축제장으로 변신시키는데요, 올해 빛축제는 '빛의 정원으로 온 그대'라는 주제로 11월 21일부터 열릴 예정입니다. 내년 3월까지 진행될 이번 축제는 단순히 조명을 밝혀두는 것만이 아니라 빛과 3D 입체음향을 연동시켜 음악에 맞춰 오색찬란한 빛들이 춤을 추는 최첨단 라이팅 쇼로 펼쳐질 예정입니다. 


본격적인 한파가 불어오기 전, 축제와 함께 벽초지문화수목원 빛축제를 함께 즐겨보시는 것도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2015 파주장단콩축제, 오두산통일전망대, 보광사 : 한국관광공사

벽초지수목원 : 벽초지수목원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