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금융뉴스] 저금리에 깨지는 예금금리 공식…1년짜리 이자가 2년보다 더 많아
저금리에 깨지는 예금금리 공식… 1년짜리 이자가 2년보다 더 많아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면서 장기간 돈을 맡길 경우 금리를 추가로 주지 않거나 오히려 적게 주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돈을 오래 맡길수록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는 '기본공식'이 깨지고 있는 것입니다.
22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외환은행의 'e-파트너정기예금'의 경우 1년 예금 금리가 2.15%인 데 반해 2년 예금 금리는 2.10%로 오히려 0.05%포인트 낮습니다. 광주은행의 '플러스다모아예금'은 1년 만기 상품 금리가 1.82%로 가장 높고 2년(1.77%), 3년(1.68%)으로 갈수록 오히려 금리가 낮아 돈을 오래 맡길수록 불리한 구조입니다. 여타 시중은행들은 아직까지 3년 만기 예금에 금리를 더 얹어주고 있지만 1년 만기 금리에 비해 0.2~0.3%포인트 높은 수준이라 금리 혜택이 크지 않은 편입니다.
정기적금 또한 상황이 비슷해 부산은행의 '가계우대정기적금'의 경우 3년 만기 금리(2.50%)가 5년 만기 상품 가입시의 금리와 같습니다. 우리은행의 '우리사랑적금'과 SC은행의 '퍼스트가계적금' 또한 3년 만기에 각각 2.30%와 2.40%를 제공하고 있지만 5년 만기 상품에 가입해도 여전히 같은 금리를 받습니다.
시중은행의 한 자금 담당자는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역마진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굳이 높은 금리를 주면서까지 장기 예금 상품을 유치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보인다"며 "최근 금융사들이 저금리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투자은행(IB)이나 수수료 수익 확대 등으로 이익을 내려 하고 있지만 단숨에 역량을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본 기사는 서울경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서울경제 기사 바로가기
이주열 한은총재 ‘2가지 고민’
통화정책 수장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새해 고민은 ‘가계부채’와 ‘각국의 상반된 통화정책’에 모아져 있습니다.
22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간담회에서 이 총재가 구상 중인 올해 통화정책의 윤곽이 드러났습니다. 이 총재는 “지난해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높아져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지난해 두 차례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그때보다는 금융완화 정도가 확대됐다”며 “금리 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목표치는 낮아졌지만 회복세만 놓고 보면 지난해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전망도 금리 인하보다는 동결 쪽에 무게를 싣습니다.
이 총재는 “3.4%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외견상 낮은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이례적 요인에 의한 것일 뿐이며 한은이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저물가가 지속되면서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서도 “일각에서 우려가 있지만 국제유가 하락으로 가까운 시일 내에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습니다.
본 기사는 경향신문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향신문 기사 바로가기
"가계부채 증가세로 금융리스크 주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작년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높아져 금융 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시사했습니다.
이 총재는 2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3.4%의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외견상 낮은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이례적 요인에 따른 것일 뿐”이라며 “한은이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보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올해 분기별 성장률을 1% 내외로 예상하는데 이는 작년보다 회복세가 더 나아지는 것”이라는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추가 금리 인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난해 두 차례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그때보다는 금융 완화 정도가 확대됐다”며 “금리 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는 특히 “작년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높아져 금융 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해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신중한 자세를 보였습니다.
본 기사는 매일경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 기사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