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팅의 모든 것! 자동차 틴팅의 종류와 올바른 선택방법 살펴보기
선팅의 모든 것!
자동차 틴팅의 종류와 올바른 선택방법 살펴보기
수많은 사람들이 신차를 인수할 경우,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바로 정식 번호판을 부착하는 것이고 두 번째가 바로 자동차 틴팅(자동차 선팅)입니다. 우리가 흔히 선팅이라고 알고 있지만 실상은 틴팅(Tinting)이 올바른 표현인데요, 자동차 틴팅 필름은 빛의 투과율을 낮춰 뜨거운 직사광선을 피하게 하는 것은 물론 운전자의 사생활을 지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틴팅은 영업사원이 새 차 출고 시 서비스 품목으로 시공해주기도 하지만 대개 서비스로 해주는 틴팅은 필름 소재가 저렴하고 기능이 떨어지며 수명이 길지 않아 만족도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또, 최근에는 틴팅에 대한 운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이 별도로 틴팅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자동차 틴팅 필름의 종류와 올바른 선택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잠깐! '차단율' 짚고 넘어가기
차량용 윈도우 필름을 선택할 때 가장 염두에 둬야 할 용어는 바로 '차단율'입니다. 태양광은 가시광선과 자외선, 적외선으로 구분되는데 가시광선은 시력에 영향을 주며 적외선은 온도에 영향을 미치고, 피부 건강을 생각한다면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단율이란 이러한 태양광에 포함돼 있는 각각의 영역을 얼마나 차단할 수 있는지 숫자로 표시한 것입니다.
가시광선은 사람들이 흔히 부르는 '빛'이기에 차단율이 높을 수록, 퍼센트(%) 숫자가 낮아질 수록 필름의 색도 짙어집니다. 하지만 무작정 차단율을 높이면 필름 색이 점점 진해지고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영향을 미쳐 사고 위험성도 커집니다. 따라서 적정선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틴팅 필름은 가장 색이 짙은 것은 5%, 가장 옅으면 80%입니다.
쾌적한 실내 온도를 만들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자 한다면 적외선 차단율(IRC)과 총 태양에너지 차단율(TSER)을 확인해야 하는데요, 수치가 높을수록 열 차단 효과가 뛰어나다는 뜻입니다. 열 차단율은 저가 필름의 경우 대개 10% 수준이며 가격대에 따라 열 차단율이 90%가 넘는 제품도 있습니다.
자동차 틴팅 필름 종류 살펴보기
차량용 윈도우 필름은 제작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필름의 종류는 대개 필름의 원료인 폴리에스테르(PET)가 한 겹인 제품인 1PLY필름과 폴리에스테르가 2겹인 2PLY필름으로 나뉩니다.
2PLY필름은 1PLY보다 탈색 지연효과와 내구성이 좋은 특징이 있죠.
1. 다이드(Dyed)
다이드 필름은 염료 필름의 일종으로 일반 투명 필름을 열로 확장한 후 그 틈에 염료를 첨가, 다시 냉각시키며 색을 입히는 기법으로 만듭니다. 따라서 색이 진할 수록 차단효과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2. 카본(Carbon)
카본 필름은 필름 원단에 탄소를 첨가해 내구성을 높인 필름입니다. 때문에 변색 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열 차단율 역시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메탈(Metal)
메탈 필름은 일반 필름 표면에 금속을 침전시켜 코팅한 필름입니다. 코팅된 금속은 태양광을 상당 부분 반사하고 적외선 영역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데요, 하지만 하이패스나 아파트 출입카드, GPS 수신을 방해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세라믹(Ceramics)
세라믹 필름은 비금속 또는 무기질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가공, 성형한 원료를 필름에 입힌 것입니다. 세라믹 필름은 열 차단 효과에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입자 크기가 작아 시인성이 좋지만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소재의 특성상 블루 계열의 필름만 존재합니다.
5. 스퍼터(Sputter)
스피터 필름은 진공 상태에서 필름의 표면에 금속 성분을 원자 구조로 얇게 박막 코팅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필름 역시 열 차단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금속 성분의 특성상 장기간 빛에 노출 시 쉽게 산화되는 단점이 있어 내구성이 좋지 않고, 일반 메탈 필름과 같은 단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6. 나노 카본 세라믹 (Nano Carbon Ceramics)
이 필름은 카본 필름의 내구성과 세라믹 필름 높은 열 차단율의 장점만을 모은 것으로 가장 최근에 개발된 필름입니다. 나노 카본 세라믹은 탈·변색율이 낮아 높은 내구성을 보이기 때문에 열 차단 성능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 입자가 작아 시인성 역시 뛰어난 것이 특징입니다.
자동차 틴팅 시 주의해야 할 점
과도한 틴팅의 위험성
1. 과도한 틴팅으로 인해 뒤따르는 차의 전방 시야 확보가 어려움
2. 과도한 틴팅으로 인해 운전자의 사물식별 능력이 떨어짐. 투과율 30% 필름일 경우 주간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야간에는 옆으로 스쳐 지나가는 사물은 물론 사이드미러를 확인하기도 어려워 높은 사고 위험에 노출된 상태로 운전하게 됨
3. 차량 내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납치 등 범죄 발생 시 확인하기가 어려워 범죄에 악용될 소지가 있음
자동차 틴팅은 각종 피부 트러블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피부암까지 유발할 수 있는 자외선으로부터 운전자의 피부를 보호하며 차량 안에서의 개인적인 행동에 대한 사생활을 보호합니다. 또, 사고 발생 시 유리의 파편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 방지 기능으로 유리 파편에 의한 2차 사고를 방지하는 등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과도한 틴팅은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범죄에 악용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은 도로교통법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자동차 창유리 투과율의 기준입니다.
도로교통법시행령
제49조 제1항 제3호에 따라 운전이 금지되는 자동차 창유리 가시광선 투과율의 기준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앞면 창유리 : 70% 미만
운전석 좌우 옆면 창유리 : 40% 미만
* 후면 유리는 규제 없음
이렇게 사동차 틴팅의 종류와 역할, 올바른 틴팅 방법을 이야기했는데 잘 살펴보셨나요? 자동차 틴팅은 우리에게 여러모로 유용하지만 지나친 틴팅은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고, 틴팅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규정에 맞는 틴팅으로 안전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이미지 출처
틴팅 필름 투과율 : http://www.alphatinting.com/
틴팅 필름 종류 : http://www.tintdepot.com/
틴팅 시 주의사항 : http://priuscha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