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연결하다/컬쳐&트렌드

타요 버스를 타요타요! 루돌프 타요 버스를 소개합니다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2. 22. 10:00

타요 버스를 타요타요! 

루돌프 타요 버스를 소개합니다





기존에 서울 시내를 달리던 '타요 버스'가 연말을 맞아 깜박깜박 눈동자가 움직이는 '루돌프 타요 버스'로 업그레이드되었다는 사실, 혹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지요. 타요 버스는 서울 시민이 직접 뽑은 '서울시 10대 뉴스' 중 1위에 선정되는 기염을 토해내기도 했는데요, 오늘은 꼬마버스 타요를 비롯해 라바 지하철, 뿌까 버스에 이르기까지 점차 하나의 문화 콘텐츠가 되어가고 있는 대중교통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2014년 봄, 타요 버스 전격 출범하다





타요 버스는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의 캐릭터 타요, 로기, 라니, 가니가 그려진 시내버스입니다. 2014년 버스운송사업조합과 (주)아이코닉스가 대중교통의 날(3월 26일)을 맞아 서울시가 저작권을 소유하여 운영한 이 버스는 이후 비영리목적으로 저작권 사용허가를 거쳐 무상사용이 허용돼 경기도 성남, 전북 익산, 경북 안동, 제주도 등까지 확장 운행되었습니다.


서울시의 타요 버스는 캐릭터 타요(파란색 370번), 로기(초록색 2016번), 라니(노란색 2211번), 가니(빨간색 9401번)가 그려진 네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로 아이들의 사랑을 받았던 꼬마버스 타요가 실제로 거리에 나타나 운행을 시작하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타요 버스를 타기 위해 아이들이 유치원 차량 대신 일부러 시내버스 탑승 시간을 맞춰 줄을 서거나, 타요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하는 시간대를 서로 공유하는 등 이전에는 볼 수 없던 진풍경이 연출되면서 큰 화재를 몰았던 타요 버스는 이러한 인기를 힘입어 노선이 점점 늘어났습니다. 현재는 79개 노선의 115대가 서울 시내를 누비고 있죠.



 

최근에는 서울시 광진구와 성남시 등의 청소 차량의 디자인에도 채택되고 있습니다. 바로 '꼬마버스 타요'에 등장하는 '러비' 캐릭터인데요, 만화 속에서 러비는 모범적으로 거리의 청소를 도맡아 하는 청소차 캐릭터입니다. 


이렇게 외관을 러비 디자인으로 바꾸면서 딱딱하고 다소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청소차는 길을 지나는 시민들의 반가운 친구가 되었는데요, 러비 청소차는 운행 첫날부터 추위의 시선을 사로잡으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합니다. 






사슴 뿔과 빨간 코, 한층 귀여워진 루돌프 타요 버스




최근 타요 버스는 한 차례 업그레이드를 거쳤는데요, 크리스마스를 맞아 기존의 타요 버스 중에서도 26대를 '눈동자가 움직이는 루돌프 타요 버스'로 변신시킨 것입니다.


이제는 빨간 코에 사슴 뿔을 달고 활짝 웃는 특별한 타요의 모습을 볼 수 있어 승객은 물론 거리에서 버스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기분까지 즐겁게 만들어줄 것 같습니다. 특히 루돌프 타요 버스는 LED 방식을 이용한 기판으로 눈동자를 변화시켜 약 10여 가지 표정을 연출할 수 있어 더욱 화제를 몰고 있는데요, 이러한 루돌프 타요 버스는 내년 1월 중순까지 운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아이와 함께 빨간 루돌프로 변신한 타요 버스를 타고 달리면 그 자체만으로도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 같네요. 




문화 콘텐츠로 부상하는 대중교통



   

어린이들이 열광하는 것은 타요 버스뿐만이 아닙니다. 타요 버스의 성공에 힘입어 서울시는 다시 한 번, 어린이들이 열광하는 애벌레 캐릭터 '라바'를 지하철로 변신시켰습니다. 


라바는 빨간색과 노란색의 애벌레 두 마리가 등장하는 코미디 장르의 국산 애니메이션으로 2011년 KBS를 통해 처음 방영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시즌3가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 중이며 전 세계 100여 국가에 수출되는 등의 선풍적인 인기를 몰고 있죠.


라바 지하철은 2호선 1편성(10량)의 안과 밖에 모두 다른 콘셉트로 포장되었는데 5개 홀수 칸은 테마 존으로, 나머지 짝수 칸은 코믹 존으로 구성했습니다. 홀수 칸에는 '라바와 친구들', '라바 카툰 세상 속으로', '라바를 찾아라', '라바와 함께 떠나', '라바와 독서여행' 등 다섯 개의 테마로 꾸며져 있습니다. 짝수 칸은 '라바와 지하철 여행', '라바와 웃어봐', '레드와 옐로우', '라바와 파티를' '라바와 세상 밖으로' 등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평일 열차시각표




토요일 열차시각표




일,공휴일 열차시각표





참고로 라바 지하철은 정해진 시간대에 운행하니 전철에 탑승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위 시간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외에도 최근 서울시에서는 또 하나의 야심 찬 프로젝트를 내놓았는데요, 바로 국산 캐릭터 '뿌까'를 랩핑한 뿌까 버스가 그것입니다. 시내버스 중 총 300대가 뿌까버스가 되어 시내 곳곳을 돌아다닐 예정이며, 이 버스에는 는 25일 성탄절 이후에는 내년 을미년 청양띠의 해를 기념해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담은 ‘2015 의기양양’ 메시지가 붙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뿌까(Pucca)는 대한민국의 캐릭터 디자인 회사 부즈 캐릭터 시스템즈(Vooz Character Systems)가 2000년 발표한 캐릭터로 2000년 1월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첫발을 내디딘 이래, 캐릭터 상품 사업을 주력으로 하여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프랑스, 동남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큰 인기를 얻습니다. 이러한 뿌까는 외국인들에게도 인지도가 높아 서울을 찾는 관광객들에게도 큰 즐거움을 안겨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뿌까와 함께하는 메리크리스버스'는 평소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광화문, 종로,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되며 103번(월계동~서울역), 152번(수유동~경인교대), 172번(하계동~ 상암동), 702번(서오릉~종로2가), 401번(장지공영차고지~광화문), 462번(송파공영차고지~영등포역) 등 60여 개 노선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대한민국의 대중교통은 단순한 교통 수단이 아니라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부상하고 있는데요,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 전 세계적으로도 '서울 버스', '서울 지하철'의 위상이 드높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올 겨울에는 여러분도 아이와 함께, 친구와 함께 캐릭터 대중교통을 이용해보시면서 아주 특별한 추억을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 ^^




이미지 출처 


 : 

러비 청소차량 : 성남시 홈페이지

타요 버스, 루돌프 타요 버스 : 꼬마버스 타요 페이스북

라바 지하철 : 서울시 홈페이지

라바 지하철 시간효 : 서울 메트로

뿌까 버스 :  서울시 홈페이지